미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다이아몬드 수출이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킴벌리 프로세스가 발표한
2022년 상반기 다이아몬드 무역 통계에 따르면 (구체적인 수치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2022년 2월 24일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 러시아산 다이아몬드의 유럽연합 수출(벨기에의 앤트워프가 속해 있다)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러시아의 협력국인 아르메니아와 벨라루스에
대한 수출 역시 크게 늘었다. 다른 나라에 대한 수출은 감소했으며, 일부
케이스지만 (예를 들어 미국) 수출이 전무한 경우도 있었다.
2022년 2사분기(4~6월)의 러시아산 다이아몬드 원석 수출은 11억 1,000만 달러로,
2022년 1사분기의 10억 1,000만 달러 대비 감소했다. (2021년 2사분기 수출액은 10억 9,000만
달러였다.) 해당 수출액은 보석용과 공업용 다이아몬드 수출액을 합산한 것이다. 3사분기와 4사분기 통계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3사분기의 예상 수출액으로 볼 때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산 다이아몬드의 수출 증가는 중량이 아닌 수출액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2사분기의 중량 기준 수출은 940만
캐럿으로 2021년 2사분기의 1,190만 캐럿보다 감소했다. 하지만 수출한 원석의 캐럿당 평균가는
상승했다. (2021년 2사분기에 91달러, 2022년 2사분기에 119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다이아몬드 애널리스트 에단 골란은 “이는 다이아몬드를 무작위 상품이 담긴 팩으로 팔지 않고 고객의 니즈에 따른 맞춤 상품으로 판매했음을 의미한다.”라며 선택적 판매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골란은 러시아산
다이아몬드의 수출액 증가가 다른 광산업체의 매출 증가분에는 미치지 못했다고 말했다.
드비어스의 2022년
상반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으며, 판매한
원석의 캐럿당 평균 가격은 58% 상승했다. 골란은 “하지만 이번 통계를 보면 미국이 여전히 러시아산 원석을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돈이 우회해서 들어올 뿐이다.”라고 말했다.
KP 통계에도 이러한 정황이 나타난다. 2022년 2사분기의 러시아산 원석의 최대 수출 대상국은 유럽연합이었다. (유럽연합은 2사분기에 6억 6,950만 달러를 수입, 1사분기의 4억 3,900만 달러보다 증가했다.)
수입 원석의 대부분은 앤트워프를 향한 것으로 보인다.
2022년 2사분기에는
아르메니아에 대한 수출도 690만 달러로 크게 증가했다. 1사분기
수출액은 2만 740달러에 불과했다. 러시아의 또 다른 협력국인 벨라루스에 대한 수출은 1사분기에 280만 달러, 2사분기에
1,240만 달러를 기록했다. 골란은 “매우
이상한 일이다. 벨라루스에는 대규모 연마 산업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르메니아에는 존재한다. 원석이 벨라루스를 거쳐 아르메니아로 가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2사분기 다이아몬드 수출 대상국에는 UAE도 포함되어 있다. UAE에 대한 수출액은 2억 4,160만 달러였다. 인도
수출액은 1억 8,240만 달러, 중국 수출액은 120만 달러였다.
이 세 국가에 대한 수출액은 모두 1사분기 대비 감소했다.
다른 시장들은 문을 닫았다.
2022년 1사분기에
러시아는 미국에 780만 달러의 원석을 수출했다. 2사분기
수출액은 0으로 줄었다. (미국은 침공 직후 제재를 시작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의 업체들이 러시아산 다이아몬드를 직접 수입하는 것이 금지됐다.)
이스라엘, 싱가포르, 스위스도 2사분기에 원석을 직접 수입하지 않았다. 이상 3개국은 1사분기에는 원석을 수입했었다.
러시아의 2022년
상반기 다이아몬드 생산량은 소폭 증가했다. 상반기에 러시아는
2,030만 캐럿(17억 달러 상당)을 생산했다. 2021년 상반기 생산량은 2,010만 캐럿(13억 달러)이었다. 다이아몬드
애널리스트 폴 짐니스키는 KP의 통계가 항상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없는 것보다는 낫다고 말했다.
JVC(주얼리 상인 윤리 위원회)의
업계 자문 사라 유드는 “이번 KP 통계는 전반적으로 국제
주얼리 산업의 명성과 우크라이나의 민주주의라는 대의명분에 있어 좋은 신호가 되지 못했다.”라며, “미국의 제재가 일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게 되어 기쁘다.
하지만 유럽연합에 대한 수출이 상당폭 증가한 것으로 볼
때, 해당분이 그냥 다른 곳으로 보내졌을 뿐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유럽연합의 입장에서는 이번 수치를 매우 걱정스럽게 봐야 할 것이다. 또한 러시아산 다이아몬드가 미국
시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지 못하는 유통 파이프라인을 차단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
JCKonline
* 기사를 퍼가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예) 귀금속경제신문(www.diamonds.co.kr)